본문 바로가기

돈을 만들면 돈이 된다는 시뇨리지, 역시뇨리지

by 쩐남쩐녀 2022. 4. 18.

경제용어 중 '시뇨리지'라는 말이 있습니다. 참 낯선 단어인데요. 한 번 배워놓으면 나중에 이 단어를 듣거나 기사에서 읽게 되더라도 쏙쏙 알아들을 수 있을거예요.

 

 

시뇨리지 역시뇨리지

 

 

시뇨리지란?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에 따르면 화폐에 대한 독점적 발권력을 갖는 중앙은행이나 국가가 화폐발행을 통해 획득하는 이득을 의미한다고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즉, 중앙은행이나 정부가 화폐를 발권함으로써 얻는 수익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금속화폐 시대에서는 금, 은 등을 화폐를 제조하여 유통하는 과정에서 화폐를 만드는 비용보다 높은 가격에 유통시킴으로 시뇨리지가 발생했습니다.

 

 

1만 원을 제조하는 비용이 천 원이 든다고 하면, 1만 원을 팔아서 버는 이익은 천 원을 뺀 9천 원이 됩니다. 

 

화폐 시뇨리지 = 화폐 액면가 - 화폐제조비용

 

이렇게 화폐의 액면가에서 제조 비용을 차감한 이익을 시뇨리지라고 부르며, 화폐주조차익 또는 인플레이션조세라고도 부릅니다. 

 

 

 

시뇨리지의 역사 

중세 유럽 봉건 시대에서 봉건 영주를 시뇨르라고 불렀습니다. 당시에는 이들에게 조폐 발행권한을 부여했습니다. 만약 영주가 자산을 축적하고 싶다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금과 은을 회수해 구리 같은 불순물을 섞어서 다시 시장에 유통시킨다면 그 차익이 생기게 됩니다. 그래서 시뇨르의 이득, 즉 시뇨리지라는 말이 생겨났다고 해요. 

 

또한 지배계층은 주화를 만들 때 주화 제조를 원하는 사람에게 그 사람이 가지고 온 원재료 일부를 수수로 명목으로 떼어내고 나머지를 주화로 제조하여 건네줍니다.

 

그리고 이 차액은 시뇨리지라고 부르게 됩니다. 주화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영주들에게 금광석을 맡기고 영주들은 수수료를 떼고 남은 금광석으로 규격화된 주화를 만들어 나눠주는 식이었습니다. 

 

 

 

역(逆)시뇨리지

한국은행은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 2020년까지 동전 없는 사회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런 사업을 벌이는 이유는 동전에 제조 유통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입니다.

 

한국은행은 매년 1300억 원 정도의 금액을 동전으로 생산하면서 제조비로 500억 원, 파손된 동전을 폐기하는 비용으로 100억 원을 지출합니다. 또한  새 동전을 찍는데 해마다 500억 원씩 든다고 하니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지는 역(逆)시뇨리지 효과가 생깁니다. 

 

과거 10원짜리 동전 하나를 만드는데 38원 정도가 들었다고 하니  '역(逆)시뇨리지 효과'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렇기 때문에 동전을 녹여서 구리를 추출해 파는 황당한 범죄 '10원짜리 유통 사건'도 생겼습니다. 

 

 

시뇨리지에  부작용은 없을까?

화폐의 이익만 생각하여 돈을 발행하게 되면 돈이 시장에 늘어나고, 돈의 가치는 떨어지게 됩니다. 오히려 시뇨리지가 작아지는 효과가 생기게 됩니다. 또한 이렇게 화폐를 발행하다 보면 물가 상승이 될 수밖에 없는 인플레이션이 생깁니다. 

 

짐바브웨 사태를 들어보신 적 있으세요? 과거 짐바브웨의 대통령 로버트 무가베가 자신의 장기 집권과 정치적 이유로 화폐를 계속 발행하면서 상상 초유의 인플레이션을 겪게 됩니다.

 

인플레이션이 심해 아침 물가와 저녁 물가가 달랐을 정도라고 합니다. 최악의 하이퍼인플레이션을 겪게 되었습니다. 무려 2008년 11월 인플레이션율이 79,600,000,000% 였다고 하는데 느낌이 잘 안 오시죠?  100원이었던 물건이 격이 2억 3천만 원이 된 것입니다. 달걀 한 알의 가격이 500억 짐바브웨 달러였다고 하니 상상하기도 싫어지네요. 식량 가격 폭등으로 폭동이 일어났고, 주택 및 주식 시장이 붕괴를 가져오게 되었습니다. 생각만 해도 후덜덜한데요.

 

 

중앙은행이 화폐 발행 양을 관리 감독할 필요가 꼭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51번째 경제 용어를 알아봤습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신용경색, 신용위험 뜻 알아보기

골디락스 경제, 대안정기, 고용률, 공공/자유/경제재

 분수 / 낙수 / 베블런 / 속물 / 밴드웨건 /레버리지 효과 용어정리

헷갈리는 GDI 와 GNI 알고 넘어가기 / 대외 의존도와 환율

양도성예금증서 (CD) 는 무엇일까?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