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시장 안전장치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 쉽게 이해하기

by 쩐남쩐녀 2022. 4. 15.

 

이번에는 주식 관련 용어 중 안전장치라 알려진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가 어떤 의미인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쉽게 적었으니 가볍게 휘리릭 읽으셔도 이해되실 거예요.

 

 

서킷브레이커란 

누전차단기와 같이 전기회로를 차단하는 안전장치를 말하지만, 주식시장에서는 주가가 갑자기 급락할 때 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주식 매매를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현물 및 선물시장에서 주가가 일정 수준 이상 급락하는 경우 시장에서의 모든 거래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제도 

 

 

과열된 전기를 차단하듯 과열된 주식 시장의 거래를 차단하는 것입니다. [주식거래 중단 제도]라고도 불리며, 영어의 첫 글자를 따서 circuit breaker -CB라고도 합니다. 

 

 

서킷 브레이커 도입

미국 증시의 대폭락 사태였던 1987년 10월 뉴욕 '블랙먼데이' 이후 도입되었습니다. 다우 지수가 하루 만에 20% 이상 급락하는 등 시장이 패닉 상태였습니다. 그때 뉴욕 증권거래소는 주식시장이 붕괴되지 않도록 CB를 도입했고, 이후 중시가 폭락할 때마다 발동시켜 주식시장의 패닉을 막았습니다. 

 

 

국내에서는

  • 1997년 IMF 외환위기 당시, 주가가 폭락해 1998년 12월 코스피에 도입됐고, 코스닥 시장에는 2001년에 도입되었습니다. 

 

국내 첫 발동 사례는

  • 2000년 4월 - 미국 증시가 폭락하면서 코스피 지수가 90p 넘게 떨어졌을 때 
  • 2001년 - 9.11 테러 당시
  • 2020년 3월 13일 /3월 10일 - 코로나 영향으로 두 차례 발동

 

 

 

발동조건

서킷브레이커는 어떤 기준에 의해 발동되는지 알아볼게요. 3단계로 나뉘어 발동되며, 각 단계별 하루에 단 한번 발동할 수 있습니다.

 

  • 1단계 : 주가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8% 이상 하락할 경우 발동. 모든 주식 거래가 20분 동안 중단되고 이후 10분 동안 단일가 매매로 거래가 재개됨 

 

  • 2단계: 전일 대비 15% 이상 하락하고 1단계 발동 지수 대비 1% 이상 추가적으로 하락할 경우 발동. 20분 동안 모든 주식 거래가 중단되며, 이후 10분 동안 단일가매매로 거래가 재개됨 

 

  • 3단계: 전일에 비해 20% 이상 하락하고 2단계 발동 지수 대비 1% 이상 추가 하락한 경우 발동. 발동 시점을 기준으로 당일 모든 주식 거래가 종료됨

 

단일가매매란? 투자자 주문을 일정 시간 동안 모아 일시에 하나의 가격으로 체결하는 방식

 

  • 1. 2단계는 장 종료 40분 전인 오후 2시 50분 이후
  • 3단계 오후 3시 20분 이후에는 발동되지 않으며 각 단계는 하루에 한 번만 발동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3단계가 발동되면 그날 주식시장의 거래는 조기 마감됩니다. 중단이 아닌 장이 종료되는 것입니다. 

 

 

서킷브레이커 사이드카

 

 

 

 

사이드카란?

사이드카는 길을 안내하는 경찰의 사이드카에서 가져온 용어입니다. 시장 상황이 급변할 경우 프로그램 매매의 호가 효력을 일시적으로 제한함으로써 프로그램 매매가 주식 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고자 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현물시장이 아닌 선물시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제도로 선물거래 시 급격한 주가 상승을 완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 

 

 

발동조건

  • 코스피 200 선물이 전 거래일 대비 5% 이상 변동된 가격으로 1분 정도 지속될 경우 
  • 코스피 150 선물이 1분 넘게 전 거래일 대비 6% 이상 변동할 경우 발동
  • 발동된 후 5분이 지나면 자동 해제되어 매매 재개 
  • 하루 한 차례 발동, 장 종료 40분 전인 오후 2시 50분 이후에는 발동되지 않음 

 

기관이나 외국인들이 사용하는 프로그램 매매를 중단시킵니다. 사이드카는 발동 후 5분이 지나면 거래가 자동으로 재개되기 때문에 효과는 매우 미미하다고 합니다. 

 

정리하면, 사이드카가 발동되면 선물시장의 가격 차이를 이용해 대량으로 매수나 매도 물량을 쏟아내는 '프로그램 매매'가 5분간 정지됩니다.

 

프로그램 매매는 사람이 직접 주문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가 대신 주문하는 것으로, 기관투자자나 외국인들이 일정 조건이 되면 자동으로 매도나 매수 주문을 내도록 프로그램을 설정해 놓은 것입니다. 

 

 

 

현물시장과 선물시장 

현물시장은 개인과 기업이 은행이나 거래 사이트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거래하는 시장

선물시장은 정해진 날짜에 현품을 인도/인수할 조건으로 매매를 약속하는 거래가 이루어지는 시장 

 

 

 

서킷브레이커 VS 사이드카

주식시장에서 서킷브레이커는 사이드카보다 더욱 강력한 조치입니다. 사이드카가 옐로카드라면, 서킷브레이커는 레드카드와 같습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식 관련 용어도 자주 올리겠습니다.

 

 

 

단번에 이해되는 주식 용어 정리 1

 

단번에 이해되는 주식 용어 정리 1

주식 용어들 정리 주린이(주식과 어린이를 합친 말로, 주식투자 초보자를 말함)도 이해할 수 있게 주식 용어를 정리했습니다. 여러분들에게도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주식이란? 기업이 자금을

moneycouple.tistory.com

 

단번에 이해되는 주식 용어 정리 2

 

단번에 이해되는 주식 용어 정리 2

장외시장이란? 증권거래소에 상장되거나 코스닥에 등록되지 못하고 개인 간 거래가 이루어지는 시장을 말합니다. 비공식적으로 거래되는 시장을 장외시장이라고 합니다. 공모주란? 기업에서

moneycouple.tistory.com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