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외환보유액(외환보유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더불어 1997년 외환위기와, 외환보유액 확인하는 방법까지 같이 살펴볼게요.
외환보유액이란?
각국 중앙은행이 평소 쌓아 두는 거액 외화 자금입니다. 외환보유고라고도 합니다.
나라 경제에 비상상태가 생겨 내국 기업이나 금융회사가 외국에 진 외화 채무를 갚지 못할 경우 정부가 대신 갚아주려고 평소에 보관해두는 돈입니다. 일종의 비상금 같은 개념의 준비자산.
기업이 진 빚을 정부가 대신 나서서 갚는 이유는 국가신용도의 추락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글로벌 시장은 각 나라에서 기업 신용이 무너지는 사태가 생길 때 정부가 감당할 능력이 있는지를 살피며 투자합니다.
정부가 사태 수습 능력이 (위기관리능력) 없다고 판단하면 국가 신용을 믿을 수 없고 대외 거래가 끊기게 됩니다.
외환위기
4년 전 '국가부도의 날'이라는 영화가 있었습니다. 우리나라 외환위기 사태를 그린 영화인데요. 저희 집도 외환위기로 인한 피해를 받았던 터라 영화를 보면서 그때의 생각이 많이 났었습니다. 흑흑
1997년 우리나라는 연말에 대외 단기부채를 갚는 외환이 부족했고, 눈치 빠른 외국 투자자들이 원화를 팔아치우고 나가버렸습니다. 그로 인한 원화 폭락은 달러가 부족한 한국 경제에 외환위기를 불러왔습니다.
한국은 미국과 일본에 달러를 빌려달라고 했지만 거절당했고, 결국 IMF(국제통화기금)에 긴급하게 융자를 요청했습니다.
IMF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세계 각국이 함께 돈을 내서 운영하는 국제 금융기간으로 회원국이 경제난에 빠질 때 돈을 빌려주지만, 융자를 해준 뒤에는 해당국 경제에 간섭하고 원금에 이자까지 얹어서 회수합니다.
융자를 요청했던 1997년 IMF는 우리나라 정부에게 급격한 구조조정을 하라고 압박했습니다. 기업과 금융기관은 짧은 시간에 자산을 처분해 부채를 줄이라고 했고, 부실한 기업은 도려내고 전반에 걸쳐 수익성을 높이라고 했답니다.
많은 기업들이 줄도산하고, 구조조정이 진행되자 실업 사태가 발생했고, 경제적으로 고통을 겪고 자살률은 전년 대비 42%나 증가했고 국민들은 금 모으기로 나라를 살리고자 애쓰고......., 그때 모인 금이 22억 달러에 달했다고 해요. 그 금으로 기업들의 부채를 갚는 데 쓰였구요.
그 당시 외환보유액이 부족했던 이유?
[경제기사 300문 300답]이라는 책 내용에 따르면 다음과 같습니다.
1996년 외환위기 닥치기 1년 전, 우리나라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에 가입했다. OECD는 선진국 클럽이라고 불렸기 때문에 나라 안팎에서 '우리도 선진국' 이라며 들떠있었다.
그러나 당시 무역 적자가 계속되었고, 568억 달러의 적자가 쌓였다. 경상적자를 메우기 위해 정부는 외환보유액의 돈을 가져다 썼고 그와 함께 단기외채의 비중도 빠르게 늘어난 탓.
1997년 말 약 660억 달러의 빚을 갚아야 했는데 외환보유액은 200억 달로도 못 됐다. 달러 부족 사태가 생겨 국가 부도 위기에 몰렸다.
현재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어떨까?
우리나라 현재 외환보유액는 4천617억 7천만 달러입니다(461.77B). 한은 관계자가 "미국의 금리 상승에 따른 미 달러 강세로 원/달로 환율이 오르면서 그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라고 말했답니다. 뭔가 든든합니다.
외환보유액이 궁금하시면 네이버 검색창에 [외환보유액]을 검색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세계 각국의 외환보유액이 궁금할 때는
첫 번째, 한국은행 홈페이지 상단에 경제통계시스템 카테고리에서 외환보유액을 검색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bok.or.kr/portal/main/main.do
두 번째, e-나라지표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index.go.kr/main.do?cate=1&web=
세 번째, 영어가 가능하신 분들은 IMF 홈페이지에 확인하실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외환보유액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개인의 지갑뿐만 아니라 나라에도 비상금이 든든하게 있어야겠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수출도 잘 됐으면 좋겠고, 경제가 잘 돌아가 자산준비금이 빠방했으면 합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환율의 상승과 하락의 의미 | 달러/원 환율
이번은 정말 중요한 환율을 한 번 훑어보고 가겠습니다. 경제 신문에 자주 나오는 달러/원 환율이라는 의미를 확실히 배워두면 도움이 되실 거예요. 환율은 비교를 통해 완성되는 돈의 값이라고
moneycouple.tistory.com
'돈버는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가구 1주택 양도소득세 면제조건 및 양도세 계산방법 (0) | 2022.04.05 |
---|---|
연준, Fed 에 대해 쉽게 이해하기 (0) | 2022.04.03 |
엔화가 떨어지는 이유 / 와타나베 부인 (0) | 2022.03.31 |
경기흐름을 좌우하는 금리를 알아보자 (0) | 2022.03.30 |
양도성예금증서 (CD) 는 무엇일까? (0) | 2022.03.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