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애그플레이션 / 경제 공부

by 쩐남쩐녀 2022. 2. 22.

인플레이션 디스플레이션 애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물가 오름세에 가속이 붙어 심해지는 현상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줄여서 '인플레'라고 줄여 부르기도 합니다. 

 

생산재와 소비재 가격이 함께 뛰더라도 경기가 확대되는 동안에는 소비 수요가 좀처럼 줄지 않습니다.

상품의 판매가가 계속 오르는 중에도 상품 생산은 계속 늘어납니다.

결국 개별 상품 가격이 전체적으로 오르면서 많은 상품 가격을 종합한 통계치, 즉 물가가 오릅니다. 

 

 

물가는 개별 상품의 가격을 평균하여 산출한 물가지수를 의미하고, 인플레이션은 물가상승 지속기간 및 상승폭, 제품의 질적 수준 향상 여부, 정부의 가격통제에 따른 암시장 가격 상승 여부 같은 점을 다 판단 고려할 때 언제 인플레이션이라고 정의할 것인가에 대해 의견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보통은 연 4%~5% 정도의 물가상승률이 관측되면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고 판단합니다. 

 

 

 

인플레이션 디스플레이션 애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이 경제에 끼치는 악영향들

 

1. 소비를 위축시켜서 경기를 끌어내립니다.

물가가 오르면 돈의 가치는 떨어집니다. 물가가 오른다고 월급이나 수입이 같이 오르지 않으니 현금 여유가 적은 시민들은 소비를 줄입니다.

 

반대로 현금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인플레이션 초기와 후기에 반응하는 양상이 다릅니다. 

 

초기에는 소비를 늘리고, 돈의 가치가 떨어짐으로 갚아야 할 빚 부담도 덜어지므로 빚을 내어 소비를 합니다. 그래서 인플레이션 초기는 판매와 소비가 늘어납니다. 기업들은 설비투자를 늘리고 고용을 늘리면서 경기가 확대됩니다. 

 

후기에는 물가가 계속 오르기 때문에 현금 여유가 있다 해도 소비를 계속 즐길 수 없습니다. 물가 상승에 대한 부담감이 점점 커지므로 소비를 줄이게 됩니다. 소비를 줄이면 판매가 줄고, 기업도 생산과 고용을 줄입니다. 

 

결국, 소비와 판매, 생산의 악순환이 생겨 경기가 위축됩니다 

 

 

물가의 급등 → 구매력 떨어짐 → 기업의 판매가 위축 → 생산과 고용이 축소  

 

 

 

2. 인플레이션은 금리를 올려 경기를 추락시킵니다. 

인플레이션 초기는 돈 가치가 떨어져 소비가 늘고, 기업들이 투자를 늘리면서 시중에 자금이 많아집니다. 자금시장에 수요가 많아지면 자연스레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고, 금리가 오르면 가계는 소비가 줄어 판매가 위축되고 기업은 투자하는데 부담이 됩니다. 결국 경기가 후퇴합니다. 

 

 

 

3. 경제주체에게 불확실한 미래 전망을 갖게 하므로 경기를 위축시킵니다.

인플레이션 때는 물가가 자꾸 오르므로 얼마나 오를지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그렇기에 기업들이 신제품 판매가를 정하고 예상 이익을 계산하는 데 있어 차질이 생깁니다. 불확실한 미래로 투자를 줄이고 고용을 위축시킵니다. 고용이 정체되거나 줄면 소비가 줄고 판매와 생산 저하로 경기가 하강합니다. 

 

 

물가의 급등 → 소비가 증가/ 저축이 감소 → 금리가 상승 → 투자와 생산이 위축됨 → 경기 하락

 

 

4. 상품 수출을 줄고 수입이 늘어 국민경제를 힘들게 합니다. 

물가가 오르면 해외로 수출되는 국산제품은 가격이 비싸지고 반대로 수입제품은 싸지는 효과가 생깁니다. 

이는 상품 수출액보다 수입액이 많아져 무역적자가 나고, 외화벌이가 부진해질 수 있습니다. 

즉, 수출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려 무역적자를 내고 나라 빚을 늘려 국민경제를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물가의 급등 → 국산품 가격상승/ 수입품 가격인하 → 수출이 위축/ 수입이 증가 → 무역적자 → 외채증가 → 경기 하락

 

 

 

인플레이션의 발생 원인

 

원유는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필수 에너지 자원인데, 원유 수출국들이 담합하면 원유 가격이 상승합니다. 원유 가격이 상승하면 석유제품에 이어서 각종 상품 가격이 오릅니다. 

 

  • 원자재, 임금 같은 생산원가가 오르는 비용 인플레이션
  • 수입 상품 값이 올라 생기는 수입 인플레이션  

 

 

경기과열, 소비자가 소비를 많이 해서 공급이 따르지 못할 때, 어떤 이유로든 상품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하면 생길 수 있습니다. 

 

  • 경기과 과열되어 공급보다 수요가 많을 때 나타나는 수요 인플레이션
  • 국내 경제 흐름에서 생기는 국내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디스플레이션 애그플레이션

 

 

 

 

[돈버는 공부] - 경제공부- 금리, 인플레이션, GDP 간단요약정리

 

경제공부- 금리, 인플레이션, GDP 간단요약정리

매년 새해가 시작되면 의례적으로 거창한 계획을 세우게 되는데요. 올해도 어김없이 버킷리스트와 목표들을 세웠습니다. 운동, 영어 공부, 책 60권 읽기 등등을 리스트로 넣었고 이번에는 특별

moneycouple.tistory.com

 

 

 

 

디플레이션 

디플레이션이란 수요가 공급보다 많이 부족하여 시장에서 판매가 위축되면서 물가가 계속 떨어지는 경제 상태를 말합니다. 

 

생산성이 좋아져 물가가 내린다면 모두에게 좋지만, 디플레이션 상황에서의 물가 하락은 돈벌이가 좋지 않거나 빚 부담이 커진 상태에서 나타난 것이라 좋지 않습니다. 수요가 부족에 저물가가 되면 판매도 줄고, 생산/고용/투자 규모가 줄어 경기가 나빠지고 경제 성장이 약해집니다. 

 

디프레이션 때는 상품이 판매되지 않아 기업이 판매가를 내려도 소비자는 소비를 하지 않습니다. 판매 부진이 지속되면 기업은 고용 인원을 축소합니다. 그렇게 실업자가 늘어나고 소비가 더욱 위축되고 제품 판매가 더 떨어지는 악순환이 생깁니다. 

 

주식이나 부동산 같은 실물자산의 가격도 떨어집니다. 

 

소비가 위축 → 기업 판매부진 → 주식/부동산 하락 → 기업 수지 악화 → 고용위축(실업/ 임금하락) → 소비위축 → 저물가

 

 

 

 

인플레이션 디스플레이션 애그플레이션

 

 

 

애그플레이션

농업이란 뜻의 Agriculture와 인플레이션 Inflation 을 합친 말로 농산물 가격의 급격한 상승이 일반적인 물가의 상승을 일으키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옥수수

옥수수 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예상하면 옥수수를 원료로 사용하는 식품은 물론 옥수수가 쓰이는 다양한 제품의 가격이 오른다고 봅니다. 

옥수수 값 상승의 영향은 옥수수를 사용하는 과자, 빵 등은 물론 옥수수로 만드는 감미료의 가격까지 영향을 미쳐, 그 감미료를 사용하는 음료나 사탕 등의 가격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원인

1. 지구 온난화와 이상 기후로 농작물 생산량의 감소 

2. 급격한 도시화로 농경지 축소 및 농가수 감소 등으로 인한 농작물 생산량 감소 

3. 옥수수, 사탕수수 등을 이용한 바이오 연료 개발 빛 육류 소비 증가에 따른 곡물 수용 증가- 농작물 수요 폭등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