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기사 읽을 때 알아두면 유용한 내용 정리

by 쩐남쩐녀 2022. 2. 20.

부동산 부분의 경제 기사를  이해하기 위해서 미리 알아두면 좋을 몇 가지 내용들을 정리해두었습니다.  

경제 부동산 관련 기사들을 읽을 때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경제신문, 부동산 관련 용어

 

 

PIR (Price to Income Ratio) 가구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

가계 소득을 기준으로 몇 년치 소득을 모아야 집 한 채를 살 수 있을지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PIR을 알면 저평가된 지역을 찾는데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 평균소득 : 전체 가구 소득의 총합 ÷ 전체 가구수
  • 중위소득 : 전체 가구 중 소득을 기준으로 중간에 (50%)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

 

 

지역별 PIR 확인하는 법?

주택금융연구원 사이트에서 주택금융통계시스템을 클릭한 후  

통계 DB → 간편 통계 → 검색란에 PIR을 치고 검색 → 원하는 지역 선택해서 찾으면 확인 가능합니다. 

 

 

주택금융연구원 HF

주택금융연구원 홈페이지에서 우측 부분에 주택금융통계 시스템으로 들어갑니다. 

 

 

 

주택금융연구원 HF

주택금융통계 시스템으로 들어가면 상단에 통계DB를 클릭합니다. 

 

 

 

주택금융연구원 HF

통계 DB에서 간편 통계를 클릭한 후 나오는 검색란에 PIR을 입력한 후 검색합니다. 

항목선택 부분에서 PIR과 LIR을 선택할 수 있고, 하단 분류선택에서 각 지역별로 선택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주택금융연구원 HF

지역별로 확인 가능하며, 수치와 그래프로도 확인해 볼 수 있어 편하게 이용 가능합니다. 

단,  PIR의 평가를 어디서 했느냐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고 하니 참고만 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펜더믹 이후 PIR이 급등한 이유?

소득은 정체되고 부동산 가격은 폭등하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와 % p의 구별

  • % 는 기준 수치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단위
  • % p는 백분율로 나타낸 수치가 이전 수치 대비 증감한 양

기사를 작성하는 사람에 따라 %를 쓸 수도 있고, % p를 사용할 때도 있습니다.  

 

 

 

 

% 와 % p의 비교 내용은 고용률 편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골디락스 경제, 대안정기, 고용률, 공공/자유/경제재

골디락스 경제 Goldilocks economy 경제가 너무 덥지도 너무 춥지도 않은 딱 적당한 경제를 말한다. 경제의 이상적인 상태 꾸준한 경제 성장을 보이지만 물가는 너무 많이 상승하지 않음 기업이 성장

moneycouple.tistory.com

 

 

 

매수 우위지수

매수세와 매도세를 비교한 것을 말합니다. 

100을 상회하면 매수세 강세로 보고, 

100을 하회하면 매도세 강세로 봅니다. 

 

 

 

 

부동산 움직임을 보는 선행지표

부동산 시장은 수요와 공급이 가격을 결정하는 주요한 부분입니다. 

주택 움직임을 보기 위해서 선행지표를 활용합니다.

 

선행지표란? 경기의 동향을 나타내는 각종 지표들 중 경기의 움직임보다 앞서 움직이는 지표를 말합니다. 

 

부동산의 선행지표 중 신규 분양주택의 공급이 어떤지를 확인하려면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 추이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택건설 인허가를 보는 이유는 보통 건축업자들이 건축을 하려면 국토교통부에 가서 인허가를 받고 2년 또는 3년 뒤에 분양이 시작된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건설인허가를 확인하면 앞으로 신규 분양의 공급이 어느 정도인지 선행지표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주택담보대출의 종류 DTI, DSR, LTV

부동산 관련 기사에 빠질 수 없는 내용이 주택담보대출 비율인데요.

정부는 이를 높이거나 낮춰서 부동산 시장을 안정화합니다. 

주택담보대출 종류에 따른 비율을 DTI, DSR, LTV로 나뉩니다. 이에 대한 관련 내용은 아래의 글을 참고해주세요.

 

 

DTI, DSR, LTV 헷갈리는 주택담보대출 용어 한번에 정리

은행에서 돈을 빌려줄 때 신용을 생각해서 신중하게 따져본 후 대출을 해주는데요. 이때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주택을 담보로 대출받는 것을 주택담보대출이라고 합

moneycouple.tistory.com

 

 

 

패닉바잉

가격 상승, 물량 소진 등에 대한 불안감으로 가격에 상관없이 생필품이나, 주식 또는 부동산을 사들이는 것을 패닉바잉이라고 합니다. 

이런 행동을 일으키는 이유는 여러 요인들이 있지만, Original research 기사에 따르면 희소성, 수요 증가, 제품 중요도, 가격 인상 기대감,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 순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부동산 기사에 패닉바잉을 넣은 이유는 우리나라에서 집값이 꾸준히 상승하면서, 지금 집을 사지 않으면 영원히 구매하지 못할 것 같은 심리가 작용해 영끌을 해서 주택을 구입한다는 기사와 더불어 패닉바잉이라는 용어가 등장하기도 하기에 추가했습니다. 

 

 

 

 

부동산을 바라보는 보수와 진보의 시선차이

 

부동산을 바라보는 보수와 진보의 시선차이가 있는데요. 

보수는 부동산 거래의 활성화시키는 성장에 가치를 둡니다. 

부동산 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수요과 공급이 원활해지고, 건전한 매매가 이뤄지면서 경제 회복을 목표로 두고 있습니다. 

그와 반대로 진보는 부동산의 분배에 집중합니다. 

분배가 목적이기에 부동산 가격을 하향시켜 양극화를 해소하는데 방향을 두고 있다는 것을 알면 좋을 것 같습니다. 

 

 

 

 

부동산의 특징

부동산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공급 제한 - 토지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공급에 제한이 있다. 
  • 높은 가격 - 가격이 높기 때문에 자연스레 은행 대출 시장이 형성될 수밖에 없다 
  • 부동산 가격이 높아도 문제, 가격이 내려도 문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