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용어에 웬 치킨게임? 경제랑 어울릴 것 같지 않은 단어인데, 치킨게임이 과연 뭘까 알아보려고 합니다. 치킨게임 한 번 파헤쳐 볼까요?
치킨게임
치킨게임이란 두 명의 경기자들 중 어느 한쪽이 포기하면 다른 쪽이 이들을 보게 되며, 어느 한쪽이 양보하지 않으면 양쪽 모두 파국으로 치닫게 되는 극단적인 게임이론을 말합니다.
한국은행 경제 용어 정리한 것에 따르면, 한때 미국에서 젊은이들 간에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차를 몰고 가는 게임이 성행했는데, 이때 마주 달리는 차가 충돌하기 적전에 운전대를 바꾸는 사람이 겁쟁이(Chicken)로 놀림을 받았다고 합니다.
게임 전문가들은 치킨게임이 이해당사자들 간에 반복될 경우 이론적으로는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선택을 포기하게 됨으로써 최악의 상황에 도달하지는 않는다고 했다고 해요.
치킨게임의 사례
기업들의 과도한 경쟁을 치킨게임이라도 하는데, 제일 가까운 예로 다음과 같은 경우입니다.
A라는 회사와 B라는 회사가 경쟁을 합니다. 어느 날 A라는 기업이 가격을 10,000원으로 낮추자 B라는 기업이 9500원으로 낮추고, A기업은 다시 9000원으로 낮추고.... 그렇게 계속 과도한 경쟁으로 가격을 낮추는 경우의 예를 들 수 있습니다.
승자가 없이 모두가 패자가 되는 상황입니다.
지금 러시아도 치킨 게임을 하는 중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러시아 입장에서 계속 전진하면서 너네 피해라고 하고 있고, 우크라이나는 너네가 철수하라고 하고 있으니까요. 러시아가 빨리 철수했으면 좋겠네요.
또 다른 예로
- 과거 냉전 시대 미국 VS 소련의 군비경쟁 사례
- 세계 반도체 시장 : 삼성전자 VS 일본 엘피다의 메모리 반도체 가격 경쟁 - 삼성전자는 시장 점유율 위해 반도체 가격을 낮추기 시작했고, 이에 대응해 엘피다도 가격을 조정. 계속적인 가격 하락으로 반도체 가격은 제조단가 이하로 떨어짐. 엘피다는 적자를 보게 되는 상황에 이름.
- 중동 국가 VS 미국 셰일오일 업체 석유 가격 경쟁 - 미국이 셰일오일을 저렴한 가격으로 시추하게 되자 석유생산을 독점하던 중동 국가들이 위기감을 느끼며 국제유가를 조정하기 시작(석유 생산 늘림). 결국 국제유가가 셰일 오일 업체들의 손익분기점보다 낮아지면서 셰일 오일 업체 생산 중단. 이로 인해 석유생산원가가 높았던 나라들 재정 악화되고 석유 감산 요청을 OPEC에게 받게 됨.
시추란? 지하자원을 탐사하거나 지층의 구조 파악을 위해 땅속 깊이 구멍을 파는 일
- 경매에서 두 사람이 경매상품을 사기 위해 가격을 올리는 것도 치킨게임의 한 사례
- 정치학자들은 1950~1980년의 남북한 군비경쟁도 대표적인 예이며 / 2004년 한국 대통령 탄핵안 가결도 여당과 야당의 치킨게임의 결과라고 봄.
게임의 결과는?
치킨게임에는 모순이 있다. 핸들을 꺽지 않은 사람이 승자가 되긴 하지만, 만약 어느 쪽도 핸들을 꺽지 않을 경우 결국 충돌함으로 모두 자멸하게 됩니다.
조영관님의 [생존을 위한 금융경제의 비밀] 책에는 새로운 상품이 나왔을 때 가격을 인하하거나 한시적으로 면제하는 이벤트를 펼쳐 치킨게임으로 치닫으면, 생산자 입장에서 제품이 신제품으로 인정받는 기간은 짧아지고, 유통망 확보와 광고비에 더 많은 비용을 지출해 마진율이 감소될 수밖에 없다고 했습니다.
치킨게임 해결방안은 없을까?
치킨게임의 사례를 알아봤는데요. 알아보다 보니 이 게임 자체는 이기면 좋지만 피해도 상당하기 때문에 이겼다고 하기도 못한 것 같습니다.
그럼 이 치킨게임의 해결방법은 없을까 궁금해집니다. 그래서 찾아보다 보니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님이 다음과 같이 말씀하신 글이 와닿았습니다.
모두가 신뢰할 사람이 필요하다.
<중략> 이런 황당한 게임을 아예 시작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지만, 어쩌다 이런 위험한 상황에 놓여도 해결책이 있다. 게임에서 아무도 지지 않으면서도 둘 모두 안전한 묘책은 바로 누군가가 '하나, 둘, 셋' 세면 정확이 동시에 핸들을 꺾으라고 둘을 설득하는 거다. 둘 다 자존심 세우고, 사고도 나지 않는 해결 방안이다.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둘 모두의 신뢰를 얻을 수 있는 사람만 둘을 설득할 수 있다.
쑤춘리 저자는 [이기는 사람들의 게임의 법칙]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이런 무모한 게임에서 끝장을 보느니 한쪽이 먼저 자신의 단점을 솔직히 밝히면, 상대는 자연스레 싸움을 포기할 가능성이 크다. 또 오히려 솔직한 태토에 감동해 호의적으로 변할 수 있다. 먼저 단점을 인정하고 밝힌 쪽은 일석이조의 결과를 얻게 된다. 남 앞에서 자신의 단점을 드러내기란 쉽지 않다. 어느 정도 용기가 필요하지만. 바로 그 용기가 게임을 성공으로 이끌어 준다.
이처럼 치킨게임에 대해서 확인해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하루에 하나씩 경제 공부하며 큰 숲을 보는 그날까지 함께하길 바랍니다. 쩐남쩐녀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무디스 신용등급이 중요한 이유
어제 일자로 이런 기사가 떴습니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우크라이나 사태로 세계 경제가 어려울 것이며 올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7%로 끌어내렸다'는 내용이었습니다. 대체 무디
moneycouple.tistory.com
'돈버는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기금융시장 VS 장기금융시장 (0) | 2022.03.24 |
---|---|
엥겔의 법칙, 엥겔지수로 소득을 알 수 있다 (4) | 2022.03.21 |
무디스 신용등급이 중요한 이유 (0) | 2022.03.19 |
금리와 채권 가격은 반대로 움직인다. 왜? (0) | 2022.03.17 |
장단기 금리차 역전은 곧 경기 침체 알리는신호 (0) | 2022.03.16 |
댓글